2) 커뮤니케이션
- 쟁의 로드맵·합법적 행동지침 카드뉴스 배포
- 조합원 Q&A 운영, 분쟁 시 팩트시트 자동 배포
3) 증거·법률 리스크
- 현장 상황 녹취·영상의 시간/위치 메타데이터 보존
- 대체근로·도급 전환 등 사용자 조치 모니터링 리포트화
체크포인트|기업 입장
1) 사전 대비
- 쟁의행위 영향 분석(IAA): 공정별 다운타임·매출감소 시나리오
- 교섭 기록화: 안건·제시안·양보안 버전관리(전자 서명 포함)
- 법률 라인: 노무·형사·민사 원페이지 컨택맵 상시 업데이트
2) 진행 중 대응
- 현장 안전·보안 분리: 안전조치 로그 vs. 증거 수집 로그
- 대체 인력·생산 우회 합법성 사전 검토(하도급·용역 포함)
- 언론·고객 커뮤니케이션 템플릿(24h 브리핑 포맷)
3) 사후 정리
- 손해 산정 보수적 계산서와 합의서 표준안 병행
- 재발 방지를 위한 합의 이행 점검표·분기 리포트
👉 기업 리스크 관리 실무 가이드 | 👉 노동조합 합법 쟁의 체크리스트
비교표|노동·기업 대응 전략
항목 | 노동 측 우선 과제 | 기업 측 우선 과제 |
---|---|---|
절차 준수 | 총회·투표·공지 증빙 | 교섭 이력·결재 라인 증빙 |
현장 운영 | 필수유지 인력표·안전수칙 | BCM(업무연속성)·대체공정 계획 |
커뮤니케이션 | 조합원 고지·Q&A | 고객/언론 브리핑·내부 안내 |
법률 리스크 | 정당성·비례성 메모 | 불법행위 회피·증거 분리보관 |
요약 체크리스트
- 쟁의 전 절차·증빙 점검(노동/기업 공통)
- 교섭·의사결정 기록화·버전관리
- 현장 안전·법률 로그 이원화
- BCM/IAA로 손실 시나리오 수치화
- 사후 합의 이행 모니터링
자주 묻는 질문(FAQ)
Q1. 노란봉투법 핵심 변화는?
A. 노조 활동에 대한 과도한 손배·가압류를 완화하고 절차 준수를 강조합니다.
Q2. 기업 리스크 관리는?
A. 쟁의 전후 영향 분석, 기록화, 법률 라인을 갖춘 다층 체계가 필요합니다.
Q3. 노동 측 준비는?
A. 합법 절차·정당성 검증, 조합원 교육, 증거 보전이 핵심입니다.
Q4. 중소기업 맞춤 해법은?
A. 구독형 자문·표준 서식·경량 BCM으로 비용과 속도를 동시에 확보합니다.